초보투자자들을 위한 100만원으로 시작하는 주식 투자 이야기
안녕하세요. 주식투자에 있어 공격적인 성향을 가지고있는 20대 청년입니다. 현재 시드는 3천만원이지만 블로그 포스팅을 위한 계좌를 개설하여 100만원으로 시작하려고 합니다.
1. 장기투자, 중기투자, 단기투자, 스캘퍼 선택
자신의 성격과 성향에 맞는 투자를 선택하셔야 합니다. 저는 공격적인 투자를 선호하지만 주로 중기투자를 합니다.
(1) 장기투자
- 투자기간 : 일반적으로 1년 이상의 긴 기간을 의미
- 목표 : 장기적인 성장과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 방식
- 특징 : 장기투자자들은 기업의 잠재 성장성에 주목하며, 투자를 할 때 주로 기업의 기본적인 가치나 재무 상태를 고려합니다. 주식을 오랜 기간 보유하며, 투자한 기업이 성장하고 주가가 상승할 때까지 기다리는것을 목표
(2) 중기투자
- 투자기간 : 일반적으로 1개월에서 1년사이의 중간 기간을 의미
- 목표 : 중기적인 성장과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 방식
- 특징 : 중기투자자들은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고려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내에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찾습니다. 주식 시장의 단기적인 변동성을 활용하면서도 장기투자보다는 활발한 매매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려고 합니다.
(3) 단기투자
- 투자기간 : 주로 몇 일에서 몇 주 사이의 짧은 기간
- 목표 : 단기적인 시장 변동을 활용하여 빠른 수익을 추구하는 방식
- 특징 : 단기투자자들은 주식 시장의 단기적인 가격 변동을 예측하고 이를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합니다. 일반적으로 기본 분석보다는 기술적 분석을 주로 활용하며, 효율적인 시스템이나 차트 패턴을 활용하여 투자를 결정합니다.
(4) 스캘퍼
- 투자기간 : 매우 짧은 기간 내에서 수 초에서 몇 분동안 주식을 보유하는 방식
- 목표 : 짧은시간 내에 미세한 주가 변동을 이용하여 빠른 소액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 방식
- 특징 : 스캘퍼는 주식의 미세한 가격 변동을 이용하여 빠른 소액 수익을 추구합니다. 자주 매매를 하며, 대부분 시장의 변동성이 낮은 시간대를 선택하여 활동합니다.
2. 종목선정
종목선정에 있어 저의 기준을 크고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1) 시가총액이 낮을수록 좋다
- 시가총액이 낮으면 거래량이 높아졌을때 변동성이 크다(포스팅하면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2) 회사의 재무제표가 좋아야한다.
- 시가총액이 낮을수록 상장폐지등등 악재가 많을 수 있어서 재무제표는 무조건 좋아야합니다.
(3) 테마주로서 과거 상승이력이 있어야 한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실제로 어떻게 주식을 선택하고 매매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어 보겠습니다.